반가루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반가루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vs 논쟁 진지100배 (1)
    • 의문점 (3)
    • 딴지걸기 (5)
    • 뭐살까 (1)
    • 왜? (7)
    • 반응 (1)
    • 중립,중도,객관적 역사 (1)
    • 오늘의 이슈 (1)
    • 기술 발전 근황 (3)
    • 미래 예측 (4)

검색 레이어

반가루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딴지걸기

  • 환승제도, 대중교통 활성화의 묘수인가 포퓰리즘의 함정인가

    2024.05.26 by bangaru

  • 개미와 베짱이 우화에 담긴 자본주의 노동관의 이면

    2024.05.23 by bangaru

  • 서큘레이터 - 이거 진짜 효과 있는거야?

    2024.05.01 by bangaru

  • 서구 기업가들의 이중잣대: 비만과 기후위기의 상관관계

    2024.04.28 by bangaru

  • 믿었던 듀얼 모니터, 절대 맹신하지 마라

    2024.04.19 by bangaru

환승제도, 대중교통 활성화의 묘수인가 포퓰리즘의 함정인가

환승제도는 단일 요금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자유롭게 갈아탈 수 있게 해 이용객들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킨 교통 정책입니다. 2004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 도입되어 대중교통 활성화에 일조해 왔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막대한 재정 지출을 동반하는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도 사실입니다.  먼저 환승제도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 바를 부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환승제 시행 후 버스 이용객이 476만명에서 516만명으로 증가했고, 지하철 승객도 2005년 631만명에서 2008년 709만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저렴한 환승요금은 시민들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선택하게 만드는 주요 동기로 작용한 것입니다.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증가는 자가용 감소로 이어져 교통 ..

딴지걸기 2024. 5. 26. 08:24

개미와 베짱이 우화에 담긴 자본주의 노동관의 이면

개미와 베짱이 우화는 오랜 세월 성실한 노동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교훈적 이야기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맥락에서 이 우화를 다시 읽어보면, 그 속에 감춰진 노동에 대한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우화 속 개미의 모습은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보면 프롤레타리아의 자화상과도 같다. 개미는 자신의 노동으로 생산한 잉여가치를 고스란히 여왕개미에게 빼앗기는 모순적 존재다. 식량을 모으는 개미의 행위는 결국 자본가를 위한 착취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개미에게 주어지는 것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뿐이다.  반면 베짱이의 모습은 전통적 해석과 달리, 자본주의에 종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과 창조적 행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름 내내 노래하는 베짱이의 삶은 경제적 논리로 환원되..

딴지걸기 2024. 5. 23. 17:17

서큘레이터 - 이거 진짜 효과 있는거야?

서큘레이터와 선풍기, 두 제품은 공기를 순환시킨다는 기본 목적은 같지만 바람을 만들어내는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실제 공기순환 성능에도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는데요. 과연 서큘레이터는 선풍기 대비 얼마나 더 뛰어난 공기순환 효과를 보여줄까요? 단순히 바람의 세기만 다른 걸까요, 아니면 총 공기순환량에서도 차이가 있을까요?  이 의문에 대해 저희는 다각도로 분석해보았습니다. 먼저 두 제품의 구조와 원리를 깊이있게 살펴보고, 전문가 의견과 소비자 사용 후기 등도 참고했습니다. 나아가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의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관적 성능 비교도 진행했는데요. 지금부터 그 결과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서큘레이터의 가장 큰 특징은 좁고 긴 바람을 멀리 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딴지걸기 2024. 5. 1. 08:17

서구 기업가들의 이중잣대: 비만과 기후위기의 상관관계

최근 들어 기후위기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죠. 그런데 정작 CO2 배출의 주범 중 하나인 축산업에 대해서는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는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서구 기업가들입니다. 이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외치면서도 정작 비만할 정도로 폭식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축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 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하며, 이는 운송 수단에 의한 배출량보다 많은 수치입니다. UN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축산업으로 인해 연간 약 7.1기가톤(Gt)의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습니다. 소와 돼지를 기르는 데에는 막대한 토지와 물, 곡물이 소모되죠.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소고기 1kg..

딴지걸기 2024. 4. 28. 07:54

믿었던 듀얼 모니터, 절대 맹신하지 마라

다중 모니터 시스템의 장단점과 효과적인 활용 방안 다중 모니터 시스템은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집중력 저하, 시스템 성능 이슈, 인체공학적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중 모니터 환경의 장단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다중 모니터의 생산성 향상 효과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면 단일 모니터 대비 생산성이 20~30% 가량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1]. 여러 개의 모니터를 활용하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멀티태스킹에 유리하고, 업무 흐름이 끊기지 않아 집중력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참고 자료를 보며 ..

딴지걸기 2024. 4. 19. 19:0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반가루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